이번엔 연구실 안전교육 생물파트 복습시간입니다!!
문제 1. 주사바늘 찔림 사고 발생 예방을 위한 노력과 가장 무관한 방법을 보기에서 고르시오.
정답 : 연구실에 대한 충분한 환기 실시
문제 2. 사람에게 감염되어 발병하더라도 치료가 용이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고위험병원체를 취급하고 이를 이용하는 실험을 실시하는 시설은?
정답: 2등급
문제 3. 감염성 병원체를 조작 시 발생 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연구활동종사자, 연구실 환경 및 작업물품 등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비는?
정답 : 생물안전작업대
문제 4. 병원체 등 감염성 물질을 취급, 보존, 유지하는 연구실 환경에서 이들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본 개념으로 연구활동종사자, 기타 출입 접촉인, 연구실 외부환경이 잠재적 위험성 인자에 폭로되는 것을 줄이거나 소거시키기 위한 것을 밀폐라고 한다.
정답 : O
문제 5. 연구실 사고 현황 분석 결과 연령대별 피해자는 60대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, 이를 통해 고도의 작업에 있어 연령별 교육강화가 필요함이 확인되었다.
정답 : X
해설 : 연구실 사고 현황 분석 결과 연령대별 피해자는 10대-20대가 가장 많았음
문제 6. 다음 중 위해 의료폐기물에 속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.
정답 : 격리의료폐기물
문제 7. 다음은 LMO 취급시설 신고 및 허가에 따른 등급 설명이다.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.
정답 : 3등급 시설은 사람에게 발병하였을 경우 증세가 심각할 수 있으나 치료가 가능한 유전자변형생물체와 환경에 방출되었을 경우 위해가 상당할 수 있으나 치유가 가능한 유전자변형생물체를 개발하거나 이를 이용하는 실험을 실시하는 시설로서 신고대상에 해당한다.
해설 : 신고대상이 아닌 허가대상에 해당함
문제 8. 연구실 외부환경이 감염성 병원체 등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시설의 설계와 운영 수칙 준수 등이 포함되며, 공조시스템 및 격리된 연구시설 등이 해당함
정답 : 이차적밀폐
문제 9. 의료 폐기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.
정답 :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중 봉투형 용기에는 용량의 60% 미만으로 의료폐기물을 넣어야함
해설 : 60%가 아닌 75% 미만으로 넣어야 함
문제 10. 연구활동 종사자는 대학/연구기관등에서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활동에 종사하는 연구원/대학생/대학원생 및 연구보조원 등을 의미한다.
정답 : O
'대학원생 성장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매 학기 돌아오는 연구실 안전교육 7탄! (26) | 2023.08.31 |
---|---|
매 학기 돌아오는 연구실 안전교육 6탄! (0) | 2022.09.13 |
매 학기 돌아오는 연구실 안전교육 5탄! (0) | 2022.09.13 |
매 학기 돌아오는 연구실 안전교육 4탄! (0) | 2022.09.06 |
매 학기 돌아오는 연구실 안전교육 3탄! (0) | 2022.09.05 |